우린 모두 생명지킴이
우린 모두 생명지킴이
  • 장한솔 청주시 상당보건소 주무관
  • 승인 2024.06.19 16:5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열린광장
장한솔 청주시 상당보건소 주무관
장한솔 청주시 상당보건소 주무관

 

우리나라의 인구 10만 명당 자살률은 22.6명으로 OECD 국가 평균 10.6명에 비해 가장 높은 수준을 보인다. 하루 평균 35.4명이 자살로 사망하고 있으며 이 수치에 통계에서 확인할 수 없는 자살 시도자와 자살사고를 지닌 사람의 수를 포함한다면 더 많은 사람이 자살 사망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많은 사람이 자살로 사망하고 있는 지금 우리는 과연 주변인들의 자살 신호를 알아차리고 도움을 줄 수 있을까?

2022년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 심리부검 면담 결과 보고서에 따르면 자살사망자의 93.6%가 사망 전 경고신호를 보였다고 한다. 하지만 경고신호 인식률은 24%로 낮으며 그중 46%는 `인식하였지만 별다른 대처를 하지 못하였다'라고 답하였다.

이렇듯 자살을 생각하는 사람이 보이는 언어·행동·정서적 변화를 알아차리는 사람은 많지 않다. 따라서 우리에게는 이 `경고신호'를 인식하고 그들이 적절한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연계하기 위한 교육이 필요하며 이러한 교육이 바로 `생명지킴이 교육'이다.

`생명지킴이'란 자살 위험성이 높은 사람을 발견하여 전문기관에 의뢰·연계할 수 있는 법을 배운 사람이다. 교육을 통해 자살을 암시하는 언어적·행동적·상황적 신호들을 배우고, 자살 생각을 지닌 사람들을 안전하게 도와주는 방법을 습득하여 자살 예방에 직접적인 개입을 할 수 있다.

직업군과 연령에 따라 맞춤형 생명지킴이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보급되고 있으며 정신건강복지센터 혹은 자살예방센터를 통한 대면 교육 이외에도 온라인(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 홈페이지 www.kfsp.or.kr)을 통해서도 교육받을 수 있어 누구나 쉽게 생명지킴이가 될 수 있다. 1시간 교육을 통해 한 사람 이상의 생명을 지킬 수 있는 것이다.

자살은 예방이 가능하다. 다만, 예방을 위해서는 우리가 알아차리는 것이 중요하다. 주변에 관심을 가지고 `보고', 그들의 이야기를 `듣고', 안전하게 도와줄 수 있는 `말하기'를 통해 우리는 누군가의 소중한 생명을 지킬 수 있다.

겨울이 지나고 오는 봄은 자살률이 가장 높은 계절이다. 전세계적으로 봄철 우울증 환자가 증가하고 자살사망자 수가 다른 계절에 비해 높게 나타나는 현상이 발생하여 `스프링 피크(spring peak)'라는 말이 생겨나기도 했다.

겨울 지나 꽃이 피고 녹음이 푸르른 계절, 내 곁의 누군가는 삶의 희망을 잃고 죽음을 생각하고 있을 수 있다. 내가 그들에게 할 수 있는 가장 쉬운 행동은 생명지킴이가 되어 따뜻한 말 한마디 건네주는 것이다.

내가 모르고 지나칠 수 있는 꺼져가는 나의 가족, 친구, 동료들의 삶을 이어나가게 할 수 있도록 우린 모두 생명지킴이가 되어야만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