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동군장애인복지관 잇단 구설
영동군장애인복지관 잇단 구설
  • 권혁두 기자
  • 승인 2015.03.29 18:3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직원들에 후원행사 티켓 수십만원어치씩 할당

관장 복지사업용 차량 통근용 사용 비판 제기
영동군이 연간 10억원 안팎의 예산을 보조하는 군 장애인복지관에 구설이 잇따르고 있다.

이 복지관은 지난해 1월부터 군 장애인협의회가 위탁 운영하고 있으며 공모를 통해 취임한 관장 A씨와 사회복지사 등 직원 20명이 근무하고 있다.

이 사설에서는 지난해 11월 A씨가 후원금 모금을 위한 다과회를 열면서 직원들에게 수십만원어치씩 티켓을 할당했다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일부 직원들의 주장에 따르면 복지관은 2000만원 모금을 목표로 이 행사를 추진하며 1만원권 티켓 2000장을 발매해 절반인 1000장을 직원들에게 할당했다는 것이다. 평균 50만원어치씩인 셈이다.

배정된 티켓을 모두 팔지 못한 직원들은 할 수 없이 자신의 주머니를 털어야 했지만 정작 관장이 내놓은 후원금은 10만원에 불과했다는 것이 직원들의 주장이다.

모금한 2000만원이 수탁법인인 장애인협의회가 군에 내기로 한 전입금으로 사용된 점도 석연찮다.

A씨가 직원들에게 매월 봉급에서 일정액을 후원금으로 기탁할 것을 강요했다는 주장도 나왔다.

관장의 전횡에 반발한 일부 직원들은 최근 노조 결성을 추진했다가 군의 설득으로 물러서기도 했다.

A씨는 전남 목포에서 민간 복지단체인 목포시니어클럽을 운영하며 전남사회복지공동모금회로부터 사업용으로 지원받은 승합차량을 자가용처럼 사용해온 것으로 밝혀져 도덕성 시비에도 휘말렸다.

A씨는 프로그램 참여 노인들의 이동을 위해 지원받은 이 차량을 지난해 사업이 중단됐는데도 반납하지 않고 수개월간 고향과 영동을 오가는 통근용으로 사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복지관 안팎에서 자질 미달이라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A씨는 “후원회 당시 간부회의에서는 직원 1인당 50장씩 티켓을 일괄 할당하자는 의견이 나왔으나 이를 반대하고 직원들이 개인별 형편에 맞춰 자율적으로 할당량을 조정토록 했다. 직원들은 목표에 미달했고 나머지는 모두 내가 독지가들을 설득해 채웠다. 직원들도 시설에 도움을 줄 후원인 확보에 나서야 한다는 말은 했지만 월급에서 후원금을 내라는 말은 한 적이 없다”고 해명했다.

차량 전용에 대해서는 “사업이 중단된 후 차량을 현지에 방치할 수 없어 관리 차원에서 타고 다녔는데 잘못된 판단이었다”며 “현재 반납 절차를 밟고 있다”고 말했다.

/영동 권혁두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