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국립박물관 건립 '탄력'
대전시, 국립박물관 건립 '탄력'
  • 장영래 기자
  • 승인 2008.12.31 09:3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예비타당성 용역비 5억 국회심의 통과… 추진위 발족충남도청 이전 부지를 활용한 국립박물관 건립이 탄력을 받고 있다.
대전시는 국립박물관 건립을 위한 예비타당성 용역비를 확보한 데 이어 30일 오후 4시30분 오페라에?홀에서 '국립박물관 건립 추진위원회' 발족식을 겸한 세미나를 갖고 지역역량 결집에 나섰다.

그동안 시는 대통령의 충청권 공약이었던 국립 근·현대사박물관 건립이 건국60주년기념사업의 일환으로 무산되자 최근묵 충남대 명예교수(71·시사편찬위원)를 준비위원장으로 대책 마련에 몰두해 왔다.

또한 최근 국립박물관 건립을 위한 예비타당성 용역비 5억원이 국회 예결위 심의를 통과면서 국립박물관 건립이 가시화되자 즉각 60여명의 추진위원으로 구성된 건립 추진위원회를 발족하기에 이르렀다.

이날 발족식에서는 홍성표 대전사랑시민협의회 회장(66·제3·4대 대전시교육감)이 추진위원장으로 추대됐으며, 대학교수, 시민단체장, 언론인 등이 추진위원으로 대거 참여했다.

이날 발족식에서는 또 이강승 충남대 교수(고고학)의 '국립박물관 대전 유치의 필요성', 김정동 목원대 교수(건축학)의 '등록문화재, 충남도청의 박물관 재활용에 대해서'를 주제로 발표가 이어졌다.

박성효 시장은 "등록문화재인 충남도청사의 보존 및 활용가치를 높일 수 있는 특성화된 계획이 필요하고, 이를 위한 대안으로 국립박물관 건립을 본격 추진하고자 한다"며 "올해 예비타당성 용역을 거쳐 대전역세권~목척교~문화예술의거리~충남도청을 잇는 원도심 르네상스 구축에 나서겠다"고 말했다.

시와 추진위원회는 일단 대통령공약인 국립 근·현대사박물관이 건국60주년 기념사업의 일환으로 '기적의 역사관'을 서울에 건립하는 방향으로 가닥이 잡힘에 따라 경복궁 복원 정비사업으로 이전이 불가피한 국립민속박물관 이전이 가장 현실적인 방안이란 데 의견을 모았다.

시는 또 국립박물관 건립을 단순히 문화시설을 늘리는 차원이 아니라 도청 이전 부지를 복합문화공간으로 조성해 목척교 주변복원 사업, 테마거리 조성사업 등과 연계한 문화부흥 프로젝트로 발전시켜 나갈 구상이다.

이를 위해 시는 박물관+공원, 박물관+아쿠아리움, 벤처타워 등 다각적인 도청 이전 부지 활용방안을 강구해 나가기로 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