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병두 사퇴 만류 나선 與지도부…"사실관계부터 밝혀야"
민병두 사퇴 만류 나선 與지도부…"사실관계부터 밝혀야"
  • 뉴시스 기자
  • 승인 2018.03.11 15:3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우원식·안규백 등 철회 요청 나서
12일 최고위 열고 공식 만류할듯
민병두는 '침묵'…사퇴서 미제출
丁의장측 "교섭단체 논의가 관례"

더불어민주당은 11일 성추행 의혹 폭로로 의원직 사퇴 의사를 표명한 민병두 의원에 대해 철회를 요청하고 나섰다. 정세균 국회의장측 역시 관례상 의원직 사퇴서를 당장 수리할 생각이 없다고 밝힘에 따라 민 의원의 국회의원직 사퇴 가능성은 낮아졌다는 분석이다.

올해 6·13 지방선거에서 1당 지위를 유지하기 위해 '현역의원 출마 자제령'까지 내린 민주당은 민 의원의 사퇴에 당혹감을 드러내며 지도부가 총출동해 철회를 요청하고 나섰다.

우원식 원내대표는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전날 밤 민 의원을 만나 대화를 나눈 사실을 공개하며 "사퇴에 동의할 수 없다"고 공개적으로 밝혔다.

우 원내대표는 "사실관계를 밝히는 것이 우선적인 일이지 의원직 사퇴부터 해야 할 일은 아니다"라고 사퇴 만류 의사를 전달했고, 민 의원이 재차 사직서 제출 의사를 밝히자 "동의할 수 없다"고 했다.

민주당 서울시당위원장을 맡고 있는 안규백 최고위원 역시 전날 민 의원과 전화통화를 하고 만류에 나섰다.

안 최고위원은 뉴시스와의 통화에서 "당시 민 의원이 총선에 떨어지고 낙선한 상태였다. 사건도 지속적이거나 반복적인 게 아니다"라며 "권력에 의한 위계관계라고 보기 힘든 만큼, 지역주민·당원과 상의해도 늦지 않으니 철회해달라고 요청했다"고 밝혔다.

그는 그러면서 "사람을 평가할 때는 과거와 현재, 미래를 놓고 해야 한다"며 "민 의원의 경우 그간 정치적 행동거지에 대한 평가가 낮지 않다. 지금 의원직을 사퇴하는 것은 지나친 오버액션"이라고 규정했다.

안 최고위원에 따르면 민 의원도 이같은 요청에 대해 일정 부분 수긍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대해 민 의원 측 관계자는 "아무 말이 없었다. 더 이상 드릴 말씀이 없다"고만 언급했다.

민주당은 12일에는 최고위원회를 열고 사퇴 만류 입장을 공식화할 계획이다. 추미애 대표를 비롯해 안규백 서울시당위원장, 이춘석 사무총장 등 당 지도부도 우 원내대표와 같은 입장을 가지고 있다.

이춘석 사무총장은 뉴시스와의 통화에서 "사퇴까지는 좀 그렇지 않냐고 여러 사람이 이야기하고 있다"며 "전반적으로 그런 기류로 모이고 있다"고 언급했다.

민 의원이 사직하면 민주당 의석수는 120석으로 줄어들게 된다. 116석인 자유한국당과의 격차가 4석으로 줄어든다. 한국당에서 의원 추가 영입설이 나오고, 민주당 현역의원 10여명이 지방선거 출마를 준비하는 상황에서 자칫 1당 지위를 뺏길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한편 민 의원은 이 시각까지 사퇴서를 국회에 제출하지 않았다. 인도와 카자흐스탄을 순방 중인 정 의장 측 역시 관례에 따라 당장 사직서를 수리할 의사가 없는 상황이다.

국회법 제135조에 따르면 국회의원이 사직하고자 할 때는 사직서를 의장에게 제출해야 한다. 회기 중에 사직할 경우 국회 본회의에서 무기명 표결로 수리 여부가 결정된다. 비회기인 경우에는 표결 없이 의장이 허가할 수 있다.

당장 12일부터 임시국회가 시작되는 만큼 민 의원이 사퇴하려면 본회의 표결을 거쳐야 한다. 민 의원이 사퇴 의사를 굽히지 않더라도 민주당이 반대하는 상황에서 본회의 통과 가능성은 매우 낮은 상태다.

이와 관련 김영수 국회 대변인은 통화에서 "비회기 중에도 의장이 독단으로 사퇴서를 수리하지는 않는다"며 "회기 중에도 의원직 사퇴는 해당 교섭단체 및 나머지 교섭단체와 협의하는 게 관례"라고 즉각 수리가 어렵다고 언급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