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지원시스템 선진화 방안 확정
취재지원시스템 선진화 방안 확정
  • 충청타임즈
  • 승인 2007.05.23 08:4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부처 37곳 브리핑룸·기자실… 3곳으로 통·폐합 등
정부가 22일 청와대에서 노무현 대통령 주재로 국무회의를 열어 각 부처에 분산돼 있는 브리핑실과 기자실을 통·폐합한다는 내용의 '취재지원시스템 선진화 방안'을 심의·확정했다.

이에따라 37개 부서에 있는 기사송고실과 브리핑실은 폐쇄되고 모든 기관들은 브리핑시 정부중앙청사와 과천·대전청사 3곳에 설치된 합동브리핑센터를 이용하게 된다.

중앙청사 본관에 설치된 브리핑실은 없어지고 대신 외교부 건물에 설치된 합동브리핑센터를 총리실, 외교부, 교육부, 통일부, 행자부, 여성가족부, 정통부, 해수부.문화부, 법제처, 홍보처, 국세청, 소방청, 청소년위, 고충처리위·중앙인사위 등 16개 기관이 이용한다.

과천청사 합동브리핑센터는 재경부, 산자부, 복지부, 노동부, .환경부,과기부, 건교부, 예산처, 통계청, 공정위 등 10개 기관이 이용한다. 대전청사의 합동브리핑실은 유지된다.

다만, 정부는 업무 특수성과 지리적 위치를 고려해 청와대, 국방부, 금감위, 검찰청, 경찰청 브리핑실과 송고실은 유지하기로 했다. 본청과 지방청, 일선 경찰서의 검찰·경찰 기자실은 본청과 서울청 기자실로 통폐합된다.

정부 관계자는 "6월30일부터 공사에 착공해 8월께 합동브리핑실을 운영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합동브리핑센터에 취재편의를 위한 언론사별 송고시설을 제공할 예정"이라며 "중앙행정기관의 브리핑은 전자브리핑 시스템을 통해 언론에 실시간 중계된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또 "언론의 개별적 취재질의와 답변도 전자브리핑 시스템을 통해 이뤄지게 된다"며 "취재지원에 관한 기준을 마련, 공무원들의 적극적인 취재협조가 이뤄지도록 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이 관계자는 이어 "비공개 대상정보라도 공익 차원의 적극적 정보공개 노력을 하도록 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 정보공개법 개정을 통해 국민 알권리 증진을 위한 조치도 추진중"이라고 밝혔다.

국정홍보처 관계자는 "취재지원 선진화 방안이 정부와 언론의 투명성 제고 취재 및 브리핑실 운영 효율화 정보서비스 제공 강화에 초점을 두고 있다"고 설명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