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 설
사 설
  • 충청타임즈
  • 승인 2007.02.09 09:0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우택 지사의 리더십
어제 '수도권 과밀집중문제 해결과 지역상생을 위한 전국연대 충북지부'라는 긴 이름의 시민단체가 기자회견을 통해 하이닉스 공장증설에 대한 정우택 지사의 소극적 대응을 다그치는 한편 지역 정치권의 각성을 촉구했다.

수도권인 경기도에서는 지사가 앞장서서 '대수도론'을 펼치며 상경집회, 삭발집회, 언론플레이 등 전방위 전략을 구사, 정부를 압박하고 있다.

또한, 수도권 출신 한나라당 국회의원들은 국회에서 수질보전법 등 관련 법규를 개정해서라도 수도권 공장증설을 허용토록 하려는 움직임마저 보이고 있다. 그동안 충북이 안주할 수 있었던 것도 수질환경 보전법과 수도권 정비계획법 등 관련법규가 대규모 공장입지를 하지 못하도록 했기 때문인데, 만약 이러한 법률이 개정된다면 속수무책이다.

그런데, 정작 충북에서는 하이닉스 비위라도 거스르지 않을까 전전긍긍 쉬쉬할 뿐, 경기도지역의 도를 넘는 억지주장과 중앙언론을 이용한 여론몰이에 대해 이렇다 할 대응을 하지 못하고 있으며, 정부가 내린 수도권(이천)공장증설 불허결정을 두고 공치사 논쟁이나 벌이는 한심한 작태를 연출하고 있다.

하이닉스 이천공장 증설과 수도권 규제완화를 위해 사활을 걸고 있는 김문수 경기도지사를 대적해 싸워야할 상대는 전북지사가 아니라 마땅히 정우택 충북도지사가 대표로 나서야 되는 것 아닌가. 정 지사와 같은 한나라당 소속인 경기도지사의 대수도론에 대적할 논리가 부족한 것은 아닐진대, 수도권 출신 국회의원들이 주장하는 "구리사용, 국가균형발전, 과밀억제 예방이라는 말도 안 되는 이유를 들어 정부가 꼼수를 부리고 있다"는 정말로 말도 되지 않는 억지 떼쓰기를 보고만 있어야 하는지 답답하다.

정우택 지사는, 분권·분산·균형발전정책이 훼손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추진되어 전국이 고루 잘 살 수 있도록 비수도권 전체가 힘을 합하여 수도권과 맞서는 리더십을 발휘해야 하지 않겠는가. '정우택 경제특별도'의 향방을 가늠할 하이닉스문제의 귀추를 지켜본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