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일·유럽, 통화전쟁 돌입…한국 등 신흥국 피해
미·중·일·유럽, 통화전쟁 돌입…한국 등 신흥국 피해
  • 뉴시스 기자
  • 승인 2015.10.29 14:5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유럽중앙은행(ECB)이 이르면 12월 추가양적완화를 시사하면서 미국과 중국, 일본, 유럽의 4대 경제주체가 사실상 본격적인 '통화전쟁'에 들어갔다고 분석이 나왔다.

일본 투자회사 FISCO는 29일 분석 보고서를 통해 ECB의 추가 양적완화 움직임에 이어 잇달아 나오는 각국 중앙은행의 조치가 치열한 환율 다툼이 전개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중국인민은행은 지난 23일 예고 없이 대출과 예금 기준금리, 은행준비율을 동시에 인하하는 조치를 단행했다.

연내 금리인상 관측이 후퇴해온 미국에선 27, 28일 열린 연방공개시장이 제로에 가까운 현행 금리를 동결하며 12월 인상 가능성을 내비쳐 분위기가 일변했으나 여전히 금리를 올리기가 쉽지 않다는 관측이 상당하다.

일본 중앙은행인 일본은행은 상황을 예의주시하면서 시기를 저울질하고 있어 언제라도 추가 금융완화에 나설 태세다.

보고서는 이들 4개국이 채무가 많고, 성장이 둔화하는 동일한 곤경에 직면하고 있는 것으로 지적했다.

일본 경우 국내총생산(GDP)에 대한 정부의 부채 잔고비율이 약 200%에 달하는 위험 수위까지 높아졌다.

미국과 중국도 정부 부채 잔고비율이 위험 수준으로 치솟았으며 이로 인해 전 세계는 재정 위기로 구제금융을 받은 그리스의 '확대판'과 같다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이들 4개 경제주체의 금융 당국은 통화의 절하 등을 통해 수출 확대와 디플레 리스크의 경감을 시도하고 있다.

그러나 이런 통화전쟁이 미-중-일-유럽을 디플레 위험과 성장 감속의 늪에서 빠져나오게 하는 효과는 한정적에 지나지 않을 것으로 보고서는 관측했다.

그 대신 한국 등 경제 규모가 상대적으로 작은 중견국과 신흥국은 통화전쟁으로 가장 많은 피해를 당할 공산이 농후하다고 보고서는 주목했다.

경제 규모가 작은 국가에선 자국 통화 약세가 수출에 어느 정도 보탬이 되지만, 자금유출 리스크가 상승하기 때문에 주가와 부동산 가격의 폭락을 유발하는 것이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들 국가는 미-중-일-유럽의 금융완화에는 대응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해 쉽사리 통화전쟁에 뛰어들 수 없고 속수무책으로 지켜보는 수밖에 없다고 보고서는 진단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