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의 주장
남경훈 취재1팀장(부국장)1981년 2월 25일. 사실상 대통령을 뽑는 선거였지만, 국민들의 관심은 없었다. 직접선거가 아닌 대통령선거인단을 통해 대통령을 뽑는 간접선거였다. 당시 전두환 대통령이 내정이 되다시피했던 터라 관심도는 더욱 떨어졌다. 어쨌든 선거인단은 전국 77개 투표소에서 선거를 했다. 투표마감시간은 오후 2시. 5277표밖에 안되는 유권자 탓에 30분뒤에 모든 개표가 마무리됐다. 김종철(한국국민당)·김의택(민권당)·유치송(민주한국당)·전두환(민주정의당) 등 4명의 후보가 출마한 가운데 전두환 후보가 예상대로 90.2%로 당선됐다.
지금 보면 어이없어 보이는 일이지만 불과 30년 전 일이다. 그때만 해도 국민들이 직접 대통령을 뽑는다는 생각을 하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었다.
‘6월 항쟁’이란 희생과 아픔을 겪은 1987년에 가서야 비로소 대통령 직선제가 부활됐다.
재산이나 성별에 상관없이 모든 사람들이 투표를 할 수 있는 보통선거의 역사는 1세기가 채 되지 않았다. 미국만 해도 초기에는 재산이 있는 백인 남성만 투표권이 있었고 인디언까지 포함된 실질적인 보통선거는 1930년에 가서야 시행됐다. 여성이 참정권을 갖게 된 것은 영국이 1918년, 일본은 1945년의 일이다. 사우디아라비아는 여성의 투표권을 주겠다고 약속한 게 지난해이고 2015년이 돼야 여성들이 처음으로 투표를 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힘들게 얻은 것이 투표할수 있는 권리다.
이번 대선에서는 거리에 후보자들 플래카드보다 더 많이 보이는 게 있다. 꼭 투표를 하자는 투표 독려 플래카드다. 정치권이나 언론에선 투표율에 따른 대선 결과 셈법에 골몰하고 있지만 어쨌든 여야를 가리지 않고 투표 독려에 나서고 있다.
지난 2007년 17대 대선 득표수를 보면 투표를 하지 않은 ‘기권’표가 1391만표, 이명박 한나라당 후보 1149만표, 정동영 대통합민주신당 후보 617만표다. 이명박 후보가 정동형 후보를 500만표가 넘는 표차로 대승을 거뒀지만 가장 많은 표는 ‘기권표’였다.
이번 대선은 후보자와 각 정당에서는 열과 성을 다해 국민을 더욱 행복하게 살게 해주겠다는 약속들을 내놓고 있지만, 정책과 공약대결은 뒤로 밀린 듯해 아쉬운 감이 있다.
그래도 유권자들은 이들 후보자 중 누군가에게 앞으로 5년간 국정운영을 맡겨야만 한다.
최근 중국·러시아·일본·북한 등 주변 국가들의 권력지형이 바뀌고 있으며 자국의 이기주의가 팽배해 경제·영토·안보 등에서 발생하는 난제들을 슬기롭게 풀어 나가는 지혜가 필요하다.
대통령 업무 중 그 어느 하나 중요하지 않는 것이 없겠지만 무엇보다 내부적인 경기회복 및 경제 활성화 정책이 청년실업 해소 및 일자리 창출로 이어져 좀 더 풍요로운 사회를 만들어 나가는 것이 급선무라 하겠다.
우리 모두는 밝은 희망의 빛을 던져줄 스마트한 지도자를 갈망하고 있다.
어느 지도자를 선택하는가에 따라 경제정책·복지정책·외교정책 등이 달라져 국가의 운명이 좌우되고, 우리의 미래도 달라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
우리 헌법이 ‘대한민국의 주권은 국민에게 있고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라고 선언하고 선거권을 국민의 기본권으로 규정한 것은 투표의 중요성을 강조한 것이다.
최다 득표자가 또다시 ‘기권자’가 된다면 대한민국의 미래는 장담할수 없다. 권력의 근원은 국민에게 있다는 민주주의의 상식을 확인하기 위해서라도 투표장에 가야한다.
저작권자 © 충청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