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대학의 위기 누구 탓인가
지방대학의 위기 누구 탓인가
  • 김금란 기자
  • 승인 2024.07.17 19:3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충청논단
김금란 부국장
김금란 부국장

위기는 곧 기회다. 과연 그럴까? 위기는 위기일 뿐이다. 위기가 기회라고 생각하는 것은 선택의 여지가 남아 있을 때 꺼낼 수 있는 얘기다.

학령인구 감소로 대학들이 통합하고 생존전쟁을 벌이고 있다.

어찌 보면 “2030년 세계 대학 절반이 사라진다”며 “4년 동안 발이 묶여 공부하는 지금의 대학 모델은 사라질 것이다.”라고 지적했던 미래학자 토머스 프레이의 말이 현실화됐다.

대학가에서 오랫동안 회자됐던 `벚꽃 피는 순서대로 망한다'는 말도 지방대학에서는 벚꽃 피는 순서도 기다릴 필요 없이 한꺼번에 무너질 것이라는 위기감이 감돈지 오래다.

문제는 세계 대학 절반이 6년 뒤 사라질 것이라는 지적도, 벚꽃 피는 순서대로 망한다는 말도 남의 일처럼 지방대학들은 위기를 위기로 느끼지 못한다는 점이다.

최근 충청대는 송승호 총장의 셀프 연봉 인상을 두고 내홍을 겪고 있다. 대학평의원회는 지난해 4월 취임한 송 총장이 취임한 지 4개월만에 자신의 연봉을 1억8000만원에서 2억원으로 14% 인상했다며 진실 규명을 요구하고 나섰다. 특히 대학평의원회 의장은 지난 10일 의결기관인 교수평의원회나 이사회 등의 승인없이 보수규정을 위반하고 자신의 연봉을 인상한 송 총장을 흥덕경찰서에 업무상 횡령, 사기죄 등의 혐의로 고발했다. 충청대 교원노조, 직원노조, 조교노조 등 3대 노조는 지난 16일 공동 성명서를 발표하고 송 총장을 향해 셀프연봉 인상에 대한 진실을 규명하라고 요구했다. 대학 측은 17일 입장문을 내고 평의원회 주장에 대해 2015년 공무원봉급표를 준용했고 충청대 총장은 교원일 뿐 전임교원이 아니다라는 해명을 내놨다. 이와 함께 송 총장을 고발한 평의원회 의장을 허위사실유포 및 명예훼손으로 충북경찰청에 고소장을 접수했다. 개교 41년 만에 총장과 평의원회 의장이 법적 싸움을 벌이게 됐다.

이와 함께 영동 유원대는 전 총장 A씨의 자녀 채용 비리 의혹과 교비 횡령 의혹 등과 관련해 검찰 수사를 받는다.

청주지검 영동지청은 지난 3일 유원대학교를 압수수색해 관련 서류를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교육부는 지난해 감사를 통해 A씨가 지난 2022년 3월 경력이 부족한 자신의 딸을 이 대학교원으로 부정 채용한 사실을 확인했다. A씨는 채용 과정에서 지원자 5명의 점수를 조작해 딸에게 면접 기회를 준 것으로 드러났다. 당시 교육부는 자녀 부정 채용 의혹 등이 빚어진 유원대 총장에 대해 해임 처분을 권고한 바 있다.

지방에 소재하는 것만으로도 지방대학은 위기다. 지방 입학 자원은 수도권으로 대거 빠져나가고, 애써 유치한 신입생은 반수, 휴학, 편입 등을 통해 수도권 대학으로 이탈한다.

고육지책으로 대학들은 합격생 전원은 물론 추가 합격자까지 장학금을 지급하고 기숙사비도 지원한다. 심지어 수업용 노트북도 제공하지만 신입생을 채우기가 버거운 게 현실이다. 가만히 있어도 살아남기 어렵다. 지방국립대들도 예외가 아니다. 충북대와 국립한국교통대가 통합에 합의할 줄 누가 예상했겠는가?

대입 쓰나미는 현실로 다가왔다. 지방 대학이 문을 닫으면 대학만 사라지는 게 아니다. 지역 경제도 사라진다.

이동규 동아대 기업재난관리학과 교수가 분석한`인구 변동과 미래 전망: 지방대학 분야'보고서를 보면 국내 대학 385곳이 2042~2046년에는 절반 가까운 190개만 살아남을 것으로 예상했다. 수도권 대학을 제외한 지방대는 252곳에서 101곳만 살아남고 충북은 18개 대학 중 10곳(55.5%)만 생존이 예측됐다. 전국 17개 시·도 중 대학 생존율이 70% 이상인 곳은 서울(81.5%), 세종(75.0%), 인천(70%)에 불과했다. 10여년 뒤 지방대학 60%가 사라진다. 충북에서 8개의 대학이 사라진다. 남의 일이 아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