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도정 10대 현안 ‘이렇게 푼다’…<4>
충북도정 10대 현안 ‘이렇게 푼다’…<4>
  • 김현정 기자
  • 승인 2008.01.09 22:2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4. 중부권 관문 청주국제공항’
청주공항 살아야 충북도 뜬다

베이징올림픽·관광총회 등 호재 '200만 시대' 눈앞

항공사업자 재정 지원조례 등 3개 시·도 공조 강화

공군부대 이전 등 숙제 "중앙정부 동향 파악 중요"

내륙도시인 충북의 지리적 특성상 청주국제공항은 세계로 향하는 유일한 통로다. 충북도가 세계 선진도시로 '비상'하기 위해서는 청주공항 활성화가 필수조건이다.

앞으로 구축될 세종시와 오송·오창, 그리고 대전, 충남의 관문역할도 청주공항의 몫. 따라서 도는 청주공항 활성화를 위해 3개 시·도와 협력방안을 강구해 '백두산 관광 전문공항' 지정과 '중국관광 특화 공항', '물류거점 공항'을 추진하고 있다.

청주공항의 쇄신=청주공항은 오는 2010년까지 이용객 200만명을 목표로 하고 있다. 지난 1997년 개항 당시 IMF로 인해 애물단지로 전락했던 청주공항이 거듭적인 쇄신을 통해 이용객 100만명 시대를 넘어 200만명까지 바라보고 있다.

항공노선도 중국노선 위주로 다양해지고 있다. 상해, 심양, 북경, 홍콩 정기선에 난닝과 베트남 하노이 부정기선이 운항중이다.

여기에 베이징올림픽, 한국관광총회, 한·중·일 관광장관회담 등 청주공항이 중국특화공항으로 도약할 수 있는 계기를 눈 앞에 두고 있다.

입·출국 소요시간도 2∼3시간이 걸리는 인천공항보다 1시간 20분정도 큰 폭으로 단축시켰으며, 항공요금도 중국 상해 1인기준으로 40만원으로 대구공항 60만원, 인천공항 50만원, 김해공항 45만원에 비해 최대 20만원에서 최소 5만원 이상 저렴하다.

3개 시·도 협력방안=충북과 대전·충남도가 청주공항 이용 항공사업자 재정 지원조례를 제정, 3개 시·도가 3분의 1씩 국제노선 항공사업자의 손익분기점인 탑승률 60% 또는 70%에 미달할 경우 그 손실을 보전해주는 방안이 추진되고 있다.

이와함께 3개 시·도 공조로 백두산관광 직항로 개설을 지난해 12월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에 건의했다.

또 청주∼세종시∼대전을 잇는 삼각벨트와 천안∼수도권 남부지역까지 아우르는 사각벨트를 경전철로 구축하고, 대전∼청주공항 고속도로 건설 전략도 제기되고 있어 중부권 경제발전의 거점이 될 수 있을지 주목받고 있다.

해결해야 할 과제=도가 추진하고 있는 '백두산 관광 전문공항'지정이 공군부대 때문에 발목이 잡혔다.

청주비행장은 공군의 전술개발과 훈련이 동시에 이뤄지는 중요기지로 군 작전 수행의 장애가 된다는 이유 때문이다.

특히 앞으로 새 정부가 지향하는 이념의 특성상 남·북관계가 경색될 가능성이 커 '백두산 관광 전문공항'자체가 전면 백지화될 가능성이 크다.

또 이명박 당선자가 청주공항을 물류거점 공항으로 육성하기 위한 공약을 제시했지만, 이는 화물을 선적할 대형점보기가 들어설 수 있도록 활주로를 확장하지 않고서는 불가능하다.

군부대 시설로 묶인 활주로를 확장하기 위해서는 공군부대가 이전하거나 국방부와 협의하는 수 밖에 없어 이래저래 공군부대가 청주공항 활성화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더욱이 중국과 동남아 위주로 특화된 현재 노선으로는 물류거점 공항으로 기능할 수 없다. 다양한 국제노선이 확보되지 않은 상태에서 여객기와 함께 들어오는 일부 노선의 택배화물만 취급할 수 밖에 없다.

어성준 도 교통물류팀 담당자는 "청주공항의 발전을 놓고 장기적인 안목으로 봤을때 공군부대 이전은 반드시 선행되어야 할 과제"라며 "중앙정부의 동향을 긴밀히 파악하는 것이 관건"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공군비행장 이전에 대해 "북한측에서 제시한 백두산관광 직항로 역시 북한 공군 제 8항공사단 27여대가 주둔하는 군사공항으로, 청주공항 옆 공군비행장 이전을 굳이 주장하지 않고도 협의점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