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권 택시요금 복합할증 폐지 언제?
청주권 택시요금 복합할증 폐지 언제?
  • 이형모 기자
  • 승인 2025.02.20 18:5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두차례 간담회 이어 새달 시민·전문가 의견 청취
시 요금조정 연구용역·분석… 합리적 조정안 마련
오송역 인근에 택시들이 줄지어 서 있다. /연합뉴스 제공
오송역 인근에 택시들이 줄지어 서 있다. /연합뉴스 제공

속보=충북 청주시가 지난해부터 읍면 지역 주민의 불만인 택시요금 복합할증 폐지를 관련 업계와 논의에 나서 폐지 여부에 관심이 쏠린다.<본보 1월12일·2월12일 보도>

시는 지난해 9월과 올해 2월 두 차례 택시요금 복합할증 폐지를 위한 택시업계 의견 청취와 요금체계 개편 방안 간담회를 가졌다.

간담회에서 택시업계는 복합할증 완화나 폐지를 위해서는 기본요금이나 거리요금 인상을 통한 손실분 보전을 시에 요구했다.

또 읍면 운행시 공차손실비용 보조 등의 재정지원도 요청했다.

특히 복합할증 폐지로 읍면 지역 택시 운행이 시내로 집중 될 경우 시내 지역 택시 과밀로 영업여건 악화 및 읍면 지역 승차난이 우려된다는 점도 제기했다.

택시업계는 요금조정에 대해 협의 의사는 있지만 단순 할증폐지에는 부정적인 입장을 밝혔다.

시는 이 같은 택시업계의 요구에 신중한 태도를 취하고 있다.

청주시정연구원의 복합할증제도 개편 연구 결과 복합할증을 폐지할 경우 시는 매년 36억원의 손실보전금을 업계에 지원해야 할 것으로 분석됐다.

시가 재정에 부담을 느끼고 복합할증 폐지에 선뜻 나서지 못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이 때문에 시는 오송·오창읍 지역의 할증을 우선 폐지한 뒤 순차적으로 면 지역으로 확대하는 방안도 검토했으나 형평성 문제가 발생될 것을 우려하고 있다.

이에 따라 시는 다음달 중 복합할증 관련 시민과 전문가 의견을 청취한 뒤 택시요금 조정 연구용역을 통해 객관적인 현황을 분석해 조정안을 만들 계획이다.

이어 올해 하반기에 충북도의 요금개편에 맞춰 시 택시요금 변경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시 관계자는 “복합할증 폐지에 따른 손실분이 시민에게 전가되지 않도록 합리적 방안 도출을 위해 연구용역이 필요하다”며 “용역 결과가 나오면 복합할증 폐지 방향을 잡아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시가 택시요금 복합할증 폐지를 검토하고 나선 것은 읍면 지역 이용자들의 민원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어서다.

청주지역 택시요금은 옛 청원군 지역인 읍면과 시내 요금이 다르게 적용되고 있다.

청주시내에서 읍면 지역으로 들어서면 35%의 복합할증 요금이 붙는다.

청주시내에서는 32초·127m당 요금이 100원씩 추가되지만 읍면 지역은 135원씩 올라간다.

택시요금 복합할증은 시내에서 읍면 지역으로 운행했다가 빈 차로 돌아올 때 손실을 보전해 주는 것으로 도농복합지역에서 적용되고 있다.

청주는 지난 2014년 통합청주시가 출범한 이후 11년이 넘도록 이 요금제가 적용되고 있어 읍면 지역 택시 이용객들로부터 불만을 사고 있다.

특히 KTX고속철도 분기역이 있는 오송과 인구가 늘어나는 오창지역에서 이 요금제 관련 민원이 증가하고 있어 요금체계 개편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형모 선임기자 lhm043@cctimes.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