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도의회 독립청사 논쟁
충북도의회 독립청사 논쟁
  • 엄경철 기자
  • 승인 2015.10.21 19:4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데스크의 주장
▲ 엄경철 취재1팀장

충북도의회 독립청사 건립 논쟁이 지속되고 있다.

도의회 독립청사 건립 문제는 올해 갑자기 시작된 게 아니다. 도의회는 4대 의회 때부터 독립청사 건립이 추진됐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후 간헐적으로 도의회 독립청사 확보 문제가 거론되곤 하다 가라앉았다.

하지만, 이번에는 논쟁이 오래가고 있다. 옛 중앙초 부지 매입과 활용 때문이다.

도의회가 내세운 독립청사 확보 당위성은 이렇다.

첫째 전국 17개 시·도 중 유일하게 독립청사가 없다는 것이다. 도내 11개 기초의회 중 옥천과 음성을 제외하고 모두 독립청사가 있는데 도의회만 없다는 이유도 들었다.

둘째 현 도청 신관이 도의회 의정 활동에 부적합하다는 것이다. 장소가 협소해 민원인과 대화를 나눌 장소, 간담회를 위한 공간, 대기실, 접견실 등이 없다는 점도 들었다.

셋째는 집행부 건물에서 ‘더부살이’하는 상황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것이다. 도청 신관 정문에 ‘충청북도의회’ 현판만 걸어놓았지 사실상 도청 건물에 얹혀살고 있는 셈이다.

도의회 나름대로 독립청사 확보를 위해 마련한 논리다. 일을 잘하고 못하는 것을 탓하기에 앞서 일하기 위한 환경을 조성해줘야 한다는 논리이기도 하다.

어쩌면 독립청사는 도의회의 오랜 숙원사업이기도 하다. 이 문제는 옛 중앙초 부지 매입을 계기로 논쟁이 뜨거워졌다. 도의회는 옛 중앙초를 의회 독립청사로 활용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집행부는 옛 중앙초 건물을 리모델링해 도청 제2청사로 사용하는 방안에 무게를 두고 있다. 신관 4~5층 사무실을 리모델링한 옛 중앙초 건물로 옮기고, 그 공간을 도의회에 내준다는 것이다.

옛 중앙초 건물 리모델링 후 사용은 어려운 재정여건을 고려한 예산절감방안이라고 한다. 충북도 재정여건상 옛 중앙초 부지에 수백억짜리 신축건물을 세우기 어렵다는 것이다.

도의회는 현 신관 건물을 확대 사용하려면 3~5층까지 모두 사용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3층은 전산시스템이 있다. 전산시스템을 옮기기가 어려워 도의회에 내줄 수 없는 상황이다.

따라서 독립청사 확보에 적극적인 도의회 입장에서는 옛 중앙초를 고집할 수밖에 없게 됐다. 독립청사 확보를 포기하지 않는 한 말이다.

독립청사 문제가 장기화하면 도의회와 집행부 간 또 다른 갈등이 야기될 수 있다. 벌써 도의회는 수백억 원 짜리 신축건물을 요구한 것처럼 집행부가 여론을 호도한다며 불쾌감을 드러내고 있다.

도의회는 어떤 식이든 지역여건에 맞게 독립청사를 확보하겠다는 의지가 강하다.

그렇다면, 옛 중앙초 건물을 리모델링해 도의회 독립청사로 사용하는 방안도 신중히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 도의회가 독립청사를 확보해야 한다는 것에 대해 여론의 전폭적인 지지를 얻지 못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그렇지만, 집행부가 도의회의 욕구를 충족시켜주지 못한다면 그 또한 문제다. 충족시키지 못한다면 도의회를 설득해야 한다. 아니면 새로운 방안을 모색해서라도 해결해야 한다.

신관 건물의 공간을 완벽히 확보해주지 못한다면 옛 중앙초를 도의회가 사용하는 것도 한 방안이다. 결과가 어떻게 나오든 공론화해서 합리적 방안을 도출하는 시도는 해봐야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