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여년전 무사안일 무산 만회 기회 - 적극적 자세 필요
10여전 무산됐던 국립노화연구소 오송 설립이 재추진되면서 성사 여부가 주목된다. 보건의료타운 조성 당시 오송 설립이 확정됐던 국가연구시설 중 하나였지만 소극적인 유치 활동과 정치 논리로 무산된 터라 반드시 지역내에 유치돼야 한다는 여론이 높다.
지역 바이오제약업계 및 관련기관 등에 따르면 국립노화연구소 설립을 추진 중인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이 최근 충북도와 오송에 부지 마련을 위한 협의를 진행한 것으로 전해졌다.
국립보건연구원은 현재 국립노화연구소 설립을 위한 태스크포스를 구성하고 노화연구 로드맵을 마련 중이다.
오송국립노화연구소는 세계적 바이오 메카 육성을 위해서는 항노화산업에 필수적인 연구시설이라는 점에서 건립 필요성이 오랫동안 제기돼 왔다.
특히 10여년 전 오송에 국립노화연구원 설립을 위한 부지를 마련하고도 지자체들의 관련 연구시설 유치 경쟁에 무산된 터라 이번엔 반드시 유치해야 한다는 여론이 높아지고 있다.
지역 바이오제약업계 관계자는 “오송이 국가보건의료타운이자 세계적 바이오 메카를 목표로 하면서 필수 시설인 노화연구소를 담지 못해 완성도를 높이지 못했다”며 “이번 기회에 반드시 오송에 국립노화연구소를 설립해야 하고 그것은 당연한 지역의 권리”라고 강조했다.
이 관계자는 “충북이 10여년 전 무사안일한 사고로 오송 설립이 결정된 노화연구소가 무산되도록 방치한 면이 있었다”며 “고령화사회라는 시대적 흐름에 맞춰 더 이상 오송국립노화연구소 설립을 늦춰서는 안 된다”고 덧붙였다.
국립노화연구소는 지난 1990년대부터 설립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오송 설립이 결정했다.
정부는 지난 2007년 오송생명과학단지에 국립노화연구원, 줄기세포재생연구센터, 중앙인체자원은행, 의과학지식센터, 고위험병원체 특수센터 등 국가연구시설 설립을 위해 부지 4만9588㎡(1만5000평)을 확보하기까지 했다.
당시 국립노화연구소를 제외한 연구시설은 계획대로 오송에 들어섰다.
하지만 국립노화연구소는 일부 자차단체가 유치에 나서면서 오송 설립이 무산됐다. 오송 착공을 앞둔 2012년 부산과 광주가 국립노화연구원 유치에 나섰다. 지자체 간 경쟁이 과열되면서 관련 법이 국회에 장기 계류되다가 오송 설립이 무산된 것이다.
당시 국립노화연구소 오송 설립이 무산되면서 충북도의 안일한 대응에 대한 책임론이 제기됐다.
2014년 임헌경 충북도의원은 행정사무감사에서 “무사안일한 충북도의 유치활동 자제가 손해가 됐다”며 노화연구소 오송 설립 무산 위기에 대해 강하게 질타했다.
그러면서 “충북자존심의 상징차원에서라도 국립노화연구원 오송 유치는 필수적이며 오송바이오밸리 완성을 위해서는 막중한 업무를 수행할 필연적인 조직”이라며 적극적인 유치 자세를 요구했다.
이후 충북도는 항노화산업 시장을 선점하기 국립노화연구원 등 관련 연구기관 유치에 다시 도전했지만 성과는 없었다.
2015년 충북발전연구원은 `항노화산업의 전망과 충북의 대응전략'을 주제로 한 연구과제 보고서를 내놨다. 항노화산업은 노인성 질병 치료·예방의 범위를 넘어 의약품, 식품, 노화피부관리, 모발관리제품, 식이조절 프로그램, 건강관리 등 다양한 분야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확대되고 있다.
/엄경철 선임기자
eomkc@cctimes.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