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영 증평군수, 생존전략 마련 위해 분주
이재영 증평군수, 생존전략 마련 위해 분주
  • 공진희 기자
  • 승인 2025.03.23 15:1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이재영 증평군수가 21일 생활인구 늘리기 특별위원회에서 활동 중인 홍준현 중앙대 공공인재학부 교수를 만나 지방소멸 위기 대응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 증평군 제공

[충청타임즈] 이재영 충북 증평군수가 지방소멸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생존전략 마련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증평군은 지난해 한국고용정보원이 발표한 ‘지방소멸위험지수 원시자료’에서 처음으로 지방소멸 위험지역으로 분류되며 소멸 위험 진입 단계에 들어섰다.

지방소멸 위험지역은 △연평균 인구증감률 △인구밀도 △청년순이동률 △고령화 비율 △유소년 비율 등 8가지 인구지표를 기준으로 지정되며 충북에서는 청주와 진천을 제외한 9개 시군이 이에 해당된다.

행정안전부는 지난해 11월, 2026년부터 보통교부세 산정 시 인구감소지역의 생활인구 개념을 반영하겠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증평군은 인구감소지역으로 지정되지 않아 지원 대상에서 제외됐으며 이로 인해 지방소멸대응기금과 보통교부세 지원에서도 불이익을 받고 있는 상황이다.

이재영 군수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적극적인 행보에 나섰다.

지난 21일 미래지향적 행정체제개편 자문위원회와 생활인구 늘리기 특별위원회에서 활동 중인 홍준현 중앙대 공공인재학부 교수를 만나 증평군의 특성과 생활인구 정책을 설명하며, 국가 차원의 생활권 중심 행정체제 개편을 적극 건의했다.

이 군수는 “증평군은 오랜 기간 인접 시군과 학군, 교통, 경제권을 공유하며 생활권 중심지 역할을 해왔다”며, “행정구역상의 인구수만이 아니라 실질적인 생활인구를 고려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증평군이 추진 중인 ‘생활인구 늘리기 정책’을 설명하며,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마련한 구체적인 조치들을 홍 교수에게 적극 피력했다.

군은 ‘증평군립도서관 운영 조례’ 및 ‘증평군 농촌체험관광 활성화 지원에 관한 조례’를 개정해 인근 주민들도 증평군민과 동일한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했다.

아울러 이 군수는 지방소멸 위기 극복을 위해 추진 중인 증평군만의 특화 정책으로 ‘증평형 돌봄정책’과 ‘증평형 농촌일손 더하기’ 사업을 소개하며 적극적인 관심과 지원을 요청했다.

이재영 군수는 “앞으로도 정주인구와 생활인구 증가를 위한 다양한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지방자치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선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증펑 공진희기자 gini1@cctimes.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