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궁궐 이야기
우리 궁궐 이야기
  • 이지수 <옥천삼양초 사서교사>
  • 승인 2015.03.30 18:4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서가 권하는 행복한 책읽기

이지수 <옥천삼양초 사서교사>

궁궐은 우리나라 최고의 통치자이던 왕과 왕비의 거주공간이자 정치를 행하던 나라 최고의 관청이었다. 이 궁궐이 지금은 비록 아무도 거주하지 않은 공가(空家)가 되었음에도 궁궐을 보면서 ‘나도 한번쯤은 왕(혹은 왕비)’이 되어봤으면 하는 판타지를 품곤 했던 이들이 상당할 것 같다. 나 역시 그러했다. 궁궐 속의 왕비가 된다면 옆에서 시중드는 이들을 양옆에 쫙 거느리고 치렁치렁 화려한 의복을 입고 지금처럼 도떼기시장 같은 아침이 아닌 아주 우아한 아침을 맞이하곤 하지 않았을까?

사실 나이가 든 지금도 아직도 이런 궁궐에 대한 판타지는 변하지는 않았다. 하지만 궁궐을 대할때 마음은 많이 변했다. 궁궐은 단순히 옛날 우리나라 왕이 살았던 한번 방문해버리고는 “나 거기 다녀왔어, 거기 봤어”로 끝나는 그저 그런 단순한 공간만은 아니라는 것이다.

‘아는 만큼 보인다’라고 했던가. 몇해전 대학원 과정을 밟으며 ‘궁궐’에 대한 새로운 시각과 생각을 갖게 됐다. 혹자는 말한다. 외국의 문화재에 비해 우리나라 것은 왜소하고 너무 단순해 보인다고. 하지만 그 나라를 상징하고 대표하는 문화(건축물 포함)는 오랜 시간에 걸쳐 자연스럽게 그 나라의 색을 나타내기 마련이다. 자연과 어우러져 살기를 좋아했던 우리나라 사람들은 궁궐을 지으면서도 자연스럽게 늘상 자연과 함께 맞닿게 설계했고 그 모습이 원래 그러했든 복원이 되었든 우리로 하여금 당시 조상의 삶과 생각을 유추해 볼 수 있게 한다. 궁궐 안 팔작지붕과 원래 세트인 것처럼 자연스럽게 맞닿아 있는 나무숲이며 일부러 창을 내지 않고 하나의 프레임처럼 밖의 경치가 그대로 한 폭의 그림이 되어 담기도록 설계한 경회루가 그러하다. 

개인적으로 이 책을 읽고 답사를 가봤던 모든 궁궐이 다 의미가 있고 좋았지만 동궁이라 불리던 ‘창덕궁’은 그야말로 우리나라 궁궐에 대한 감탄을 자아내기 그만이었다. 창덕궁의 정문 돈화문에서 시작해 후원에 이르기까지 그냥 스쳐 지나가면 몰랐을 것들에 대해 제각각 가지고 있는 의미를 되새기고 알면서 다시 보고 그러다 보니 일제 강점기에 일명 ‘놀이터’로 변모해버렸던 아픈 역사를 가진 후원의 진짜 의미와 아름다움도 다시 보였다.

이렇게 우리 궁궐의 아름다움과 왜곡된 것이 아닌 그 ‘바른’ 의미에 대해 잘 담고 있는 책이 바로 도서 ‘우리 궁궐 이야기(홍순민·청년사)’이다. 홍순민 교수는 우리나라 최초의 궁궐 1호 박사님으로 EBS 강연과 여러 오프라인, 수많은 크고 작은 강연회 이력을 갖고 있다. 책을 읽고 난 후 일부러 EBS 강연을 찾아서 봤던 기억이 난다. 그만큼 이 책을 읽고 있노라면 구중궁궐은 사라지고 다소 쓸쓸해보이기만 하던 궁궐이 먼 시간과 공간 차를 넘어서 한양이라 불리던 당대의 시공간으로 절로 빠져들게 한다.

왕과 왕비, 왕의 수많은 가족, 궁녀들, 내시들, 관원, 군인들…. 지붕과 지붕이 빽빽이 들어찬 곳으로 그대로 하나의 ‘도시’를 이루던 궁궐은 함께 실려 있는 흑백사진으로 더욱 생동감과 사실성을 더해주고 있다. 나아가 궁궐을 포함하여 궁궐이 위치하던 서울(옛 한양)의 전반을 함께 아우르고 있어 서울의 현재와 오늘을 생각해보기에도 좋다. 

외출하기 좋을 계절이 성큼 다가왔다. 곳곳에 노란 개나리, 흰 목련꽃이 피어오른다. 잊지 않고 올해도 피어나는 꽃을 보노라니 절로 콧노래도 나온다. 이 책과 돗자리를 들고 가족과 함께 서울로 궁궐 나들이를 떠나보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