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영수 공군참모총장은 19일 사천기지에서 KF-21 전투기에 탑승해 시험비행을 함께 했다.
이번 비행은 시험비행조종사 외의 KF-21 탑승은 이 총장이 처음이다.
KF-21 ‘보라매’는 대한민국이 개발 중인 4.5세대 초음속 전투기로 지난 2022년 7월 19일 최초비행에 성공했으며 2023년 5월 15일 잠정전투용 적합 판정을 받았고, 2024년 6월 25일 최초양산 계약을 체결했다.
같은해 11월 28일에는 무사고 1,000 소티(Sortie) 비행을 달성했으며 앞으로 계획된 약 1,000 소티의 시험비행을 마친 후 2026년부터 일선 전투비행단에 배치될 예정으로 개발이 완료되면 대한민국은 미국, 러시아, 유럽 등에 이어 초음속 전투기 독자 개발 국가가 된다.
이날 이 총장은 시험비행조종사 우홍균 소령과 함께 KF-21에 탑승해 조종특성과 항공전자장비 정확도 등을 점검하는 시험비행을 수행하며 우수성과 안전성을 확인했다.
이 총장은 F-5, F-16, F-15K 등 공군의 주력 기종들을 조종하며 2800시간 이상 비행한 베테랑 조종사다.
또 F-15K 도입요원으로서 2005년 국내 첫 인도분 두 대 중 한 대에 탑승해 미 본토에서 성남기지까지 비행했던 전력도 있으며 이 총장은 F-15K 1세대 조종사이자 F-35A 첫 비행단장으로 F-15K와 F-35A의 전력화에 크게 기여했다.
이날 이 총장은 남해안 약 4,500M 상공에서 1000Km/h 이상의 속력으로 비행하며 KF-21의 안정적인 공중작전 수행능력을 점검하며 우리 공군의 주력 전투기인 KF-16과 함께 비행하며 타 기종과의 전술 운용 능력도 검증했다.
특히 KF-21에 장착된 국산 능동위상배열(AESA: Active Electronically Scanned Array) 레이다의 성능도 확인했으며 AESA 레이다는 국방과학연구소가 개발하고 한화시스템이 생산하고 있다.
이영수 공군참모총장은 “이륙하자마자 가까운 항적부터 먼 공역에 있는 항적까지 동시에 표시·추적되는 조종석 화면을 통해 국내 개발·생산된 AESA 레이다의 정확성과 전장상황 파악 능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지금까지 직·간접적으로 체험했던 레이다들과는 차원이 다른 성능을 지녔다”며 “KF-X 사업 추진 당시, 우리 기술로 AESA 레이다를 개발할 수 있을지에 대한 우려와 회의적인 시각도 많았는데, 오늘 이렇게 우리가 개발한 AESA 레이다의 성능을 직접 보니 감회가 새로웠다”고 말했다.
이어 (KF-21 첫 비행 관련) “2005년, 당시 최강이었던 F-15K의 도입요원으로 미 공군의 비행훈련을 받았을 때, F-15 시리즈 같은 명품 전투기를 생산하는 국가에 대한 감탄과 부러움이 속에서 북받쳐 올랐었다”며 “오늘 우리 대한민국이 만든 전투기의 탁월한 성능을 공중에서 점검해보면서 실로 뜨거운 감회를 느끼며, 20년 만에 우리가 바로 그런 대단한 나라가 되었다는 자부심이 느껴지는 한편, KF-21로 대한민국을 수호할 후배들이 부러워졌다”며“파워와 기동은 물론, 항전장비, 무장능력에 있어 세계 탑클래스 전투기와 나란히 할 수 있을 것이라는 확신이 들었다. KF-21은 K-방산의 가치를 한층 끌어올릴 명품 전투기로 이름 날릴 것"이라고 밝혔다.
/계룡 김중식기자 ccm-kjs@cctimes.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