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확기 벼 매입량 23만톤 늘린다
수확기 벼 매입량 23만톤 늘린다
  • 한권수 기자
  • 승인 2009.09.30 21:3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농림부 대전서 간담회… 재고물량 특별처분도 추진키로
정부가 올해 수확기 농가벼 매입량을 확대하는 등 쌀 시장 안정을 위한 대책을 마련, 적극 추진키로 했다.

농림수산식품부 임정빈 과장은 지난 30일 대전을 방문해 기자간담회를 갖고 정부의 이같은 정책을 설명했다.

정부는 올해 벼 작황이 평년작(457만톤)보다는 많지만 전년 수준(484만톤)에는 못 미치는 465만톤 내외의 풍작인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올해 465만톤 생산시 적정 소비량이 437만톤 수준으로 예상됨에 따라 약 28만톤 정도의 공급 초과현상이 전망된다.

이같은 공급 초과를 해소하기 위해 정부는 공공비축미 매입물량 37만톤 중 학교급식·군수용 등 기본적인 공공물량(19만톤)을 제외한 18만톤은 시장에 공매를 하지 않고 비축·격리키로 했다.

나머지 잉여물량에 대해서는 농협중앙회를 통해 시장에서 매입해 격리하는 방안을 관계부처와 협의해 마련토록 할 계획이다.

지속되는 쌀 수요 감소에 대응키 위해 쌀가공산업 시장활성화 등 수요 확대 방안도 적극 추진해 나갈 방침이다.

정부 매입량을 지난해보다 2만3000톤 늘린 270만톤으로 확대하고, 민간부문 비축물량도 207만톤에서 233만톤으로 2만6000톤 늘릴 예정이다.

비축물량의 특별 처분 방안으로 주정용 공급, 2005년산 정부쌀 가격 인하로 밀가루 대체 유도, 학교 등 공공기관에 쌀 가공식품 급식 확대 등을 추진한다.

또 2009년산 쌀 생산량이 평년작(457만톤)을 넘을 경우 추가 물량에 대해 농협에 의해 격리토록 하고, 비용은 정부에서 보전해줄 예정이다.

구체적인 방안으로 군인들에게 내년부터 생일 쌀 케이크 공급, 쌀국수 월 3회 공급 등을 추진키로 국방부와 협의를 마쳤으며, 대형 쌀 유통회사 육성 또는 쌀 선물거래 도입 등도 방안으로 검토할 예정이다.

임정빈 과장은 "정부에서는 농업인의 불안심리가 커지지 않도록 가능한 모든 방안을 동원해 수확기 시장안정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농업인들의 정상적인 출하를 당부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