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송에 있어야 할 국립노화연구원
오송에 있어야 할 국립노화연구원
  • 엄경철 기자
  • 승인 2014.03.26 18:5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데스크의 주장
엄경철 취재1팀장<부국장>

청원군 오송 건립 확정 6년이 되도록 실행되지 않고 있는 국립노화연구원 유치를 부산이 다시 언급하고 있다.

이번에는 부산시가 공식적으로 유치를 표방하고 나섰다. 그동안 부산지역의 국회의원, 학계, 관련 분야에서 유치를 주장했지만 부산시가 공식 유치를 표면화 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부산시는 관련 연구소와 공동으로 26일 국립노화연구원 부산유치 기원 심포지엄을 열었다. 부산유치 필요성과 당위성을 찾기 위한 것이다. 오송에 와 있어야 할 국립노화연구원이 처한 현실이다.

2007년 국가보건의료기관 오송 이전과 함께 국립노화연구원 등 연구지원시설의 입지는 오송으로 확정됐다.

오송 이전 확정 6년 동안 실행되지 않았던 것은 부산과 광주에서 정치권을 앞세워 입지를 주장한 탓이다. 입지 논란에 싸인 국립노화연구원은 관련 법안마저 국회를 통과하지 못했다. 지난해에는 국립노화연구원 건립 예비타당성 조사를 한 기획재정부가 ‘부적합’ 판단을 내렸다. 예비타당성 조사에서 B/C(비용대비 편익률)가 낮게 나왔다는 이유에서다.

오송 건립이 지연되면서 상황은 더 악화되고 있었다. 그런데도 부산은 포기하지 않고 있다.

정부가 건립에 부정적으로 나오는데도 오히려 부산은 유치를 공식화했다. 정부가 6년전 국립노화연구원의 오송 입지를 결정하기까지에는 타당성 검토가 충분히 이루어진 상태였다고 봐야 한다. 그런 정부가 몇 년 만에 타당성 부적합을 내세워 백지화하려는 움직임을 보인 것은 다른 지역의 유치 경쟁으로 인한 정치권의 눈치를 보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러한 분위기가 감지되는 속에 부산은 보다 더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부산은 항노화산업 메카 육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정부가 운영할 노화연구원 유치가 필수일 수밖에 없다. 그들은 지난 2004년 처음으로 국립노화연구원 설립 필요성을 제기했다고 주장할 정도로 국립노화연구원 유치에 집착하고 있다.

이 정도면 오송 입지가 결정됐다는 기득권을 주장하는 충북이 안심할 상황이 아니다.

공신력을 생명으로 하는 정부가 오송에 국립노화연구원 건립을 확정짓고 땅까지 매입했다. 그 정도면 입지 논란이 더이상 나와서는 안될 일이었다. 하지만 현실은 원점으로 되돌아간 듯한 분위기다. 충북이 불리해지고 있는지도 모른다.

우리도 모르는 사이에 국립노화연구원 입지가 새롭게 논의되고 있는지도 살펴볼 필요가 있지 않을까 싶다.

굳이 지나간 과거사를 들춰내고 싶지는 않지만 민선4기와 민선5기를 거치면서 충북은 충분히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는데 기회를 놓친 것이 아닌가 싶다. 국가 정책들이 그렇듯이 이 문제도 정치와 무관하지 않다는 점은 깊이 새겨야 할 것이다.

국립노화연구원 오송 건립 확정과 부지 매입까지 끝낸 상황에서 관련 법안을 마련치 못했다. 국회에서 제동이 걸린 셈이다. 지역 국회의원이 나서서 해결하지 못했다. 국회 복지위원회는 국회의원들에게 매력있는 상임위가 아니다. 그래서 인지 첨단의료복합단지 유치 당시에도 지역의 중차대한 현안임에도 지역 국회의원들이 관련 상임위에 가려하지 않았다. 과연 국립노화연구원이 지역정치권 역할 부재 탓이라는 비난을 피할 수 있을까 싶다.

이제라도 부산시가 공식화하고 있는 국립노화연구원 유치에 적극 대처해야 한다. 세계적 바이오메카 충북 육성이라는 목표 달성도 있지만 지역에 유치될 국가기관을 다른 지역에 빼앗겨서는 안되는 ‘충북의 자존심’때문이라도 반드시 오송 건립을 관철시켜야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