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지자체·민간 합심 체류형 관광인프라 구축이 답
정부·지자체·민간 합심 체류형 관광인프라 구축이 답
  • 엄경철 기자
  • 승인 2023.05.21 17: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역소멸 해법 국립공원에서 찾는다
⑦ 시리즈를 마무리하며
충북 국립공원 3곳 천혜 자연자원·문화유산 풍부
여행트렌드 맞는 투자·관광상품 개발·마케팅 절실
설악산·내장산 케이블카 운영방안 등 관심도 필요
(위) 1970년 지정 속리산 국립공원, 정이품송, (아래) 법주사, 1984년 지정 월악산 국립공원
(위) 1970년 지정 속리산 국립공원, 정이품송, (아래) 법주사, 1984년 지정 월악산 국립공원
(위) 월악산 닷돈재 야영장, 단양 장회나루 선착장, (아래) 소백산 남천계곡, 괴산 청천면 화양계곡
(위) 월악산 닷돈재 야영장, 단양 장회나루 선착장, (아래) 소백산 남천계곡, 괴산 청천면 화양계곡

 

충북의 국립공원 3곳 중 속리산은 1970년 지정됐다. 올해로 53년째 천연림을 보존하고 있다. 월악산은 1984년, 소백산은 1987년에 국립공원에 이름을 올리고 각각 39년, 36년째 천연림과 문화유산을 지키고 있다.

충북의 국립공원은 국내 관광명소로 각광을 받았다. 수십 년이 지난 현재 일부 국립공원은 쇠락했다. 속리산의 경우 국립공원 지정후 한때 수학여행1번지였지만 이젠 그 명성을 흑백사진에서만 찾을 수 있다. 1980년대 들어서면서 잊혀져 가는 관광지가 된 것이다. 국민관광명소의 명성이 퇴색하는 동안 충북 국립공원권역의 지자체 역시 소멸의 길로 접어들었다.

속리산국립공원 권역의 보은군과 괴산군, 월악산국립공원과 소백산국립공원 권역의 충주시와 제천시, 단양군은 정도에 차이가 있지만 인구감소, 고령화 속도가 빨라지면서 소멸위기 극복을 고민하고 있다.

특히 보은군, 괴산군, 단양군 등 국립공원 권역의 사정은 녹록지 않다. 산촌과 농촌지역인 이들 지자체는 초고령화와 인구감소 극복에 사활을 걸고 있다. 충북의 국립공원을 반세기가 넘도록 보존하면서 희생한 댓가는 소멸위기였다.

한 때 국민관광지로 명성을 떨쳤던 속리산국립공원 권역은 50년 전 모습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200만명에 육박했던 관광객은 이젠 아주 오래 전의 추억이 됐다. 괴산지역 역시 국립공원 권역이면서 자연자원과 문화유산 보존에 따른 혜택보다는 소멸론을 신경써야 할 처지다.

그나마 월악산과 소백산 권역은 분위기가 다소 나은 편이다. 국립공원 탐방객들이 꾸준히 찾는 상황이긴 하지만 권역 지자체들이 만족할만한 관광수요는 아니다.

다만 속리산 권역과는 달리 여행트렌드에 맞춘 콘텐츠 개발을 통한 활로를 모색하기 위한 흔적이 보인다. 최근 꾸준히 늘어나고 있는 캠핑족들을 겨냥한 야영장, 오토캠핑장 운영, 자연휴양림 조성, 힐링체험 시설 유치 등이 여행객들을 유입시키는데 도움이 되고 있다. 과거 민박촌에서 한단계 업그레이드한 펜션문화를 자연자원과 접목한 점도 현대 여행트렌드 맞춤형으로 평가된다.

지자체들의 관광산업 몰입형 정책이 돋보인 곳은 단양군이다. 단양군은 군단위로는 드물게 관광공사를 설립해 운영하고 있다. 관광산업을 주력산업화하기 위해 선택과 집중을 하고 있다. 그 결과는 코로나19 펜데믹에서 빛이 났다. 국제적인 관광지인 제주도가 코로나19 동안 관광객들이 줄었지만 단양군은 정반대였다. 관광객 수가 크게 늘어나면서 국내 대표관광지로 급부상했다. 코로나19라는 예상치 못했던 환경적 요인 때문이라기보다 단양군이 평소에 콘텐츠 개발, 관광인프라 구축 등의 투자를 통해 준비해온 결과라 할 수 있다. 다만 단양군 역시 관광자원의 업그레드 노력을 지속해야 하지만 재정자립도가 낮은 군 자체적으로는 한계가 있다. 관광산업을 위한 대자본의 획기적인 투자가 관건이다.



# 주목받는 국립공원 케이블카 사업

이번 기획시리즈는 국립공원이라는 거대 규제 틀에 묶여있는 지역의 소멸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을 고민하고 대안을 찾기위한 것이었다.

국립공원 지정과 국민관광지로 각광을 받았던 설악산국립공원과 내장산국립공원도 취재범위에 포함시켜 다뤘다. 특히 두 곳의 국립공원은 케이블카를 운행하고 있는 곳이다. 최근 국립공원 케이블카사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상황에서 수십 년 전에 설치된 두 곳의 케이블카가 지역관광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됐는지에 중심을 뒀다. 결론은 국립공원 관광경기 활성화에 큰 도움이 되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보존과 개발 논란의 사회적 비용을 지불한 댓가는 미미하다고 볼 수 있다. 두 곳의 국립공원 역시 충북의 국립공원과 비슷한 상황에 있었다. 상가와 숙박지구의 공동화, 여행트렌드에 맞추지 못해 관광객 감소를 겪고 있지만 획기적인 해법을 찾지도 못하고 있다.

3개의 국립공원을 보유하고 있는 충북 입장에서는 이 두곳의 관광 실태와 자구 노력, 정부와 지자체의 관심과 지원 정도가 가져오는 결과를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

무엇보다 충북은 속리산과 소백산국립공원에서 경북과 케이블카 선점 경쟁을 벌여야 한다. 케이블카 사업이 국립공원 권역의 관광경기를 살리고 지역경제 활성화에 도움이 될 수 있는지는 신중하게 검토해볼 일이다.

이번 시리즈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던 것은 국립공원 권역 지자체의 의지만으로 소멸위기에서 벗어날 수 없다는 것이었다. 정부와 광역지자체의 획기적인 투자와 관심, 지원, 민간자본유치를 통한 체류형 관광인프라 구축이 있어 다양한 여행트렌드에 맞춰갈 수 있다. 국립공원 권역의 관광자원 개발과 적극적인 마케팅이 소멸위기의 지역을 살릴 수 있는 방안 중의 하나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글·사진 엄경철 선임기자

eomkccc@cctimes.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