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년 문청으로
만년 문청으로
  • 신미선 수필가
  • 승인 2023.02.14 17:4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生의 한가운데
신미선 수필가
신미선 수필가

 

지난달에는 근처 주민자치센터에서 함께 수필 공부를 하는 회원 한 분의 등단식이 있었다.

한 지방 신문사가 공고한 신인 문학상에 응모하고 당당히 이름 석 자를 올린 그녀는 하얀 머리칼이 인상적인 중년의 여사님이었다. 몇 년 전 수필을 배우겠다며 이웃 마을 충주에서 이곳 음성까지 매주 빠지지 않고 출석을 하며 타의 모범을 보이셨다. 더욱이 낮에는 직장을 다니고 늦은 나이에 대학까지 병행해 만학의 꿈을 모두 이룬 가운데 느지막한 때에 글 쓰는 일에 취미를 들여 몇 년을 배우러 다니셨다. 그 열정이 참 대단하다 싶었는데 이렇게 꿈을 현실로 이뤄낸 주인공을 보니 나도 덩달아 내 일처럼 기뻤다.

배우면 배울수록 자꾸만 어려워진다며 만날 때마다 토로하던 여사님은 어느새 일취월장 멋진 작가가 되었는가. 그녀의 등단식을 바라보고 있자니 문득 내 한 시절의 그때가 떠올랐다.

몇 년 전 몇 번의 고배를 마신 후 한 월간지를 통해 드디어 등단 소식을 접했다. 전화로 당선되었다는 연락을 받고 정말 내가 맞느냐고 몇 번을 되물었던 기억이 아련하다. 그 순간에는 정말 세상을 다 얻은 것 같았다. 그리고 뒤이어 가장 먼저 떠오른 생각은 이제 앞으로 나의 길은 문운이 고속도로처럼 펼쳐지리란 장밋빛 미래였다. 작가라는 타이틀이 탄탄대로로 펼쳐질 줄 알았다. 밥을 먹지 않아도 배가 불렀다.

그러나 나의 화양연화는 거기까지였던 것 같다. 오히려 작가라는 명함은 더는 고뇌하지 않아도 된다는 어떤 안일함으로 다가와 나를 매너리즘에 앉히고 말았다. 등단한 후 몇몇 신문사에 칼럼을 쓰면서 나름대로 열심히 살고 있다고 자부하면서도 하루하루 어느새 느슨해진 삶에서 안주하고 지냈다. 하루 여덟 시간을 직장에서 아이들과 생활하고 퇴근 후 집으로 돌아오면 책 한 장 읽을 시간보다 핸드폰과 함께하는 시간으로 틀에 박힌 일상이 이어졌다.

이미 작가라는 꿈을 이루었다는 자만심이 그림자처럼 따라다녔다. 먹고 잠을 자는 일보다 시간 가는 줄 모르게 책을 읽어 본 날이 언제였던가. 밤을 낮처럼 하얗게 지새우며 글 써 본 적은 또 언제였던가. 누군가는 이렇게 한발 한 발 앞을 향해 걷고 있는데 나는 늘 그 자리에 머물러 있었다.

등단식을 축하하기 위해 초대된 한 시인의 축사가 밀물처럼 가슴 속으로 훅하니 들어왔다. 그것은 감동을 주는 사람에 관한 이야기였다. 감동할 줄 아는 사람보다 더 위는 감동을 주는 사람이란다. 감동할 줄 아는 삶이 있는 사람만이 감동할 수 있고 글을 쓰는 일도 결국은 타인에게 감동을 주기 위한 것이라는 말씀에 공감이 많이 갔다. 누군가에게 감동을 주는 글이 좋은 글이고 그러기 위해서 작가는 끊임없이 고뇌해야 한다는 말에 저절로 고개를 끄떡였다.

작가라는 이름을 얻었으니 나는 천상 글쟁이로 살아야겠다. 창문 너머 어스름 남빛 먼동이 터 오를 때까지 시간의 흐름에 맡겨지지 않은, 시간을 이끌어가던 그때를 다시 소환해야 할 것 같다. 밥 먹는 것도 잊은 채 한창 책 읽는 재미에 빠져 있던 때, 몇 날 며칠을 썼다. 지우기를 반복하던 시간으로 돌아가야 한다.

누군가에게 감동을 주는 좋은 글을 쓰기 위해 늘 고뇌해야 한다. 만년 문청(文靑)이 되어야 한다. 이제 막 걸음을 떼기 시작한 올 한 해 어떤 글로 타인에게 감동을 선사할까 끝없이 고뇌할 일만 남았다. 이제라도 늦지 않았다고 오늘 등단식의 주인공이 모습으로 일러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