벗들과 모여 묵다
벗들과 모여 묵다
  • 김태봉 서원대학교 중국어과 교수
  • 승인 2022.11.28 19:3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태봉 교수의 한시이야기
김태봉 서원대학교 중국어과 교수
김태봉 서원대학교 중국어과 교수

사람으로 태어나 긴 세월을 살아가야 할 때 꼭 필요한 것 중의 하나가 다른 사람들과의 교유(交遊)이다.

일반적으로 교유 기간이 길수록 친밀감과 신뢰감은 깊어진다고 봐야 한다. 이런 의미에서 오랜 벗들과 모처럼 한곳에 모여 묵으면서 느끼는 감회는 남다르다고 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당(唐)의 시인 이백(李白)도 오래된 벗과 한 곳에 묵으면서 그 특별한 감회를 맛본 사람 중의 하나였다.





벗과 모여 묵다(友人會宿)





滌蕩千古愁(척탕천고수) 천 년 묵은 시름 씻어내고



留連百壺飮(류연백호음) 며칠이고 눌러앉아 백 병의 술을 마시네



良宵宜淸談(양소의청담) 좋은 밤이라 맑은 얘기 나누기 좋고



皓月未能寢(호월미능침) 밝은 달에 아직 잠들 수 없어라



醉來臥空山(취래와공산) 취해 텅 빈 산에 누우니



天地卽衾枕(천지즉금침) 하늘과 땅이 바로 이불과 베게네





오랜 세월을 교유해 왔던 벗들과 모처럼 만나 술잔을 주고받으며 허심탄회한 얘기를 나누는 것은 생각만으로도 행복하고 즐거울 것이다. 시인이 언제 어디서 무슨 연유로 벗들과 모여 묵게 되었는지는 알 수가 없지만 어찌 되었건 그런 자리가 마련되었다.

시인이나 그의 벗들은 모두 세속적인 일에는 관심이 없었다. 인간이 근원적으로 가지고 있는 삶의 이치를 시인은 천 년 묵은 시름으로 부르고 있다. 오래 묵어 켜켜이 쌓인 때와도 같은 존재인 시름을 씻어 낼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을 시인은 이 자리에서 발견하였다.

오랜 벗들과 좋은 철에 만나 밤을 새워 술을 마시며 맑은 얘기를 나누는 것이 바로 그것이다. 밝은 달은 그들이 탐내는 유일한 것으로 이것이 하늘에 떠 있는 한 잠자리에 들 수는 없다. 술을 나누며 맑은 이야기를 하다가 달이 지면 그때서야 각자 숙소로 돌아간다. 시인의 벗들이 돌아간 곳은 알 수 없지만, 시인이 돌아온 곳은 텅 빈 산이다. 친구도 가족도 없는 텅 빈 산 말이다. 원초적으로 고독할 수밖에 없는 인간 숙명의 한 단면을 잘 보여준다. 텅 빈 산이라는 방에 들어와 덮은 이불은 하늘이고 베개로 벤 것은 땅이었다. 세속을 떠나 우주 자연과 일체가 된 시인의 모습이 눈에 선하다.

사람이 완전히 세속을 벗어나 살기란 사실상 불가능할지 모른다. 그렇다고 해도 가끔은 세속적 이해관계를 떠나 삶의 근원적 문제에 대해 생각하는 기회가 있어야 한다. 이를 통해 사람들은 삶의 에너지를 재충전하기도 하고 삶의 진정한 가치에 대해 깨닫기도 한다. 아무런 세속적 이해관계가 없는 오랜 벗들과 흉금 없는 얘기를 나누며 밤을 지샐 수 있고, 거기에 밝은 달이 떠 있는 동안은 그것이 아까워 잠들 수 없다면, 얼마나 멋진 일인가?

/서원대학교 중국어과 교수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