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과학문화거점센터 설립 3년차의 단상
충북과학문화거점센터 설립 3년차의 단상
  • 박병준 충북과학문화거점센터장
  • 승인 2022.02.23 19:1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기고
박병준 충북과학문화거점센터장
박병준 충북과학문화거점센터장

 

10~20년 전 이공계 기피현상이 사회문제였던 시기가 있었다. 이공계 종사자들이 열악한 환경에서 어렵고 힘든 일을 한다는 인식 때문이었다. 그러나, 인문사회계 진로가 선호되던 과거의 분위기는 지금 찾아보기 어렵다. 그 이유는 아이러니하게도 이공계 진로를 선택하면 대학진학에 유리하고 취업도 잘된다는 인식 때문이다. 심지어 문송(문과라서 죄송합니다)이라는 말이 유행하기도 한다. 우리 사회의 이런 큰 변화는 현대과학기술의 빠른 발전과 우리 정부의 발 빠른 대처에 의한 놀라운 결과이다.

문화라고 하면 문학, 음악, 미술 등을 떠올리게 된다. 국어사전을 보면 문화는 `사회 구성원의 행동 양식이나 생활양식의 과정 및 그 과정에서 이룩하여 낸 물질적ㆍ정신적 소득'으로 광범위한 의미를 담고 있다. 한 마디로 우리 사회의 모든 것이 문화라는 말이니 과학도 당연히 문화지만 그렇게 생각하는 사람은 많지 않다. 문화생활을 통해 우리가 얻고자 하는 것은 일상에서 벗어난 기쁨이나 위안이다. 미술관에 가거나 아이돌 가수의 콘서트에 가는 것이 기쁨과 위안을 주는 것처럼, 과학관에 가는 것이 즐거운 문화가 되는 것은 가능할까?

음악과 과학을 비교해보자. 음악을 과학처럼 이론으로 배우는 방식으로만 마주한다면 기쁨과 위안을 주는 문화가 될 수 있을까? 음악이 과학과 유사하게 주요 입시과목이 되어 학원에서 이론을 배우고 강제로 외워야 한다면 문화로 살아남을 수 있을까? 음악 전공자를 제외한 일반인이 진학이나 취업의 목적하에 강제로 음악공부를 강요받는다면 음악의 위치는 과학과 다를까?

한때 유럽에서는 음악이 중요한 산업이던 시기가 있었다. 그러나 음악 산업의 발전을 위해 국가정책이 동원되거나 강제로 전 국민이 음악이론을 학습해야 하는 분위기는 없었다. 그저 사람들은 음악을 즐기기만 하면 되었고 그러한 수요에 맞춰 음악가들이 열심히 곡을 만들고 연주했을 뿐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지금 과학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첨단 산업이 경제를 견인하고 있다. 국가정책은 과학기술 연구개발에 집중되고, 인재양성을 위한 교육시스템이 적극적으로 가동된다. 이런 환경하에서 진학과 취업을 위해 전 국민이 강제로 과학기술의 이론을 억지로 공부해야 하니 과학이 문화와 거리가 멀어지게 된 것이 아닐까? 음악이 연주나 공연을 통해 우리에게 기쁨과 위안으로 다가서는 것처럼, 과학도 이론을 공부하는 것 말고 보다 직관적이고 친근한 방식으로 우리에게 다가선다면 문화로 자리 잡을 수 있지 않을까?

다행히 이공계 기피현상은 해소되었고, 과학축제 현장에 초등학생 아이와 엄마가 함께 오는 것이 흔하게 보인다. 엄마는 아이가 과학을 잘 공부하여 훌륭한 인재로 성장하기를 바라며 과학실험을 보여준다. 그러나, 억지로 과학을 공부해야 하는 아이보다 엄마가 더 재미있게 과학실험에 참여하는 것을 자주 본다. 엄마는 의무에서 벗어나 예전에 배운 내용을 떠올리며 마치 첫사랑을 다시 만난 듯 미소를 지으며 흥미진진하게 실험을 즐긴다. 과학이 문화로 자리 잡을 수 있는 가능성이 엿보이는 대목이다.

과학을 문화로 자리매김하는 무거운 과업을 안고 충북과학문화거점센터가 2020년에 설립되었다. 억지로 공부하는 과학이론이 아니고 과학연주와 과학공연을 통해 과학이 일반인에게 기쁨과 위안을 주는 문화가 되도록 노력하고자 한다. 충북도민 모두가 함께 과학문화를 즐기고 위안을 얻기를 기대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