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극히 사적인 기록이 역사가 되다
지극히 사적인 기록이 역사가 되다
  • 박소연 충북도문화재硏 교육활용팀장
  • 승인 2021.04.11 20:0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역사시선-땅과 사람들
박소연 충북도문화재硏 교육활용팀장
박소연 충북도문화재硏 교육활용팀장

 

코끝을 간질이는 봄바람에 마음이 술렁이는 요즘이다. 따뜻한 바람이 불어 꽃잎이 흩날리면 우리 마음도 슬며시 열리는 것만 같다. 그래서인지 누군가를 떠올리며 수줍게 일기에 끼적이거나, 그 사람에게 편지를 쓰고 싶은 마음이 들기도 한다. 요즘에는 SNS나 문자메시지로 마음을 전하기도 한다지만, 표현 방식이 달라졌다고 해서 그 사람을 생각하는 마음마저 가벼워진 것은 아닐 테다.

가끔 뉴스에서 옛 무덤을 이장하는 과정에서 함께 묻혀 있던 편지를 발견했다거나, 집안의 오래된 물건을 정리하다 선조들의 기록을 발견했다는 이야기를 듣게 된다. 이럴 때면 그 내용이 모두에게 낱낱이 공개되곤 하는데, 당시 사람들은 자신의 글이 후대에 이렇게 알려지게 될 것은 꿈에도 생각하지 못하였을 것이다. 과연 이 사실을 알면 어떤 생각이 들지 괜히 송구스러운 마음이 들기도 한다. 그럼에도 우리는 누군가의 사적인 글들이 너무나 반갑다. 그들이 남겨준 글 속에는 당시 공적으로 발간된 자료에서 확인할 수 없는 또 다른 이야기가 담겨 있기 때문이다.

학교 다닐 때 한 번쯤은 `원이 아버지께'라는 편지를 들어봤을 것이다. 안동의 한 택지개발지구의 오래된 무덤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발견된 이 편지는 약 450년 전의 조선을 살아가던 한 여인이 쓴 편지였다. 죽은 남편을 위해 한글로 쓴 편지 한 통과 자신의 머리카락을 잘라 미투리 한 켤레를 만들어 함께 묻었던 여인. 이 편지에는 사랑하는 사람을 떠나보내는 절절한 마음뿐만 아니라, 당시의 생활상이나 한글 표현 등을 알려주는 이야기가 담겨 있다.

또한 국립청주박물관에는 조선의 17대 임금 효종의 셋째 딸 숙명공주에게 보냈던 편지를 모은 『숙명신한첩』이 소장되어 있다. 혼인하여 궁 밖에 사는 나이 어린 공주가 걱정되어 주고받았던 66통의 편지가 전해오는 것이다. 이 편지는 주로 왕실 가족 간 서로의 안부를 묻는 내용이지만, 그 속에 당시 사회상이나 한글사용법을 비롯한 역사 문화적으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해주고 있다.

한편 조선시대 대표적인 유학자로, 우리 충북지역에 다양한 문화유산을 남긴 송시열의 기록도 있다. 바로 시집가는 딸을 위해 아녀자로서 지켜야 할 덕목 20가지를 적어 『계녀서』라는 책으로 남긴 것이 그것이다. 이 책에는 부모를 섬기는 법, 형제간의 우애하는 법, 제사를 받드는 법, 손님을 접대하는 법, 하인을 다루는 법, 그밖에 각종 예의범절 등이 수록되어 있다. 이 책은 누군가를 가르치기 위해 기록한 교훈서이기에 완전히 개인적인 자료라 할 수 없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당대를 대표하는 학자조차도 딸을 걱정하는 마음에 구구절절 글을 적을 수밖에 없었던 아버지의 마음이 그대로 전해진다. 이 책을 통해 우리는 조선시대 유교적 가치관과 여성들의 일상을 짐작해 볼 수 있다.

그리고 가장 개인적인 기록이라 할 수 있는 일기 중에 전 국민이 다 아는 유명한 일기도 있다. 바로 『난중일기』이다. 이순신 장군이 임진왜란을 겪는 동안 써온 일기로, 매일 교전 상황이나 날씨, 사람들의 생활 모습까지도 상세히 기록하여 당시 상황을 생생히 전해준다. 1962년 국보 제76호로 지정된 이 일기는 2013년에는 세계적 중요성, 고유성, 대체 불가능성의 가치를 인정받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도 등재되어 있다.

이처럼 개인적인 필요에 의해서 남겨진 편지와 일기 등의 기록이 현재를 사는 우리에게는 공익의 역할을 톡톡히 해주고 있어 참 고마울 따름이다.

따뜻한 봄기운이 가시기 전, 지극히 개인적인 기록 하나 남겨보는 것은 어떨까. 이로써 후대를 살아가는 또 누군가에게는 흥미로운 이야깃거리가 될 거라는 상상만으로도 충분히 즐거운 하루가 될 테니!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