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제의 계절
축제의 계절
  • 전영순 칼럼니스트
  • 승인 2019.10.10 20:1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주말논단
전영순 칼럼니스트
전영순 칼럼니스트

 

소슬바람 에돌아 가는 지상은 고을마다 축제로 시끌벅적하다. 어디 축제뿐인가? 광화문에서 서초동에서 활활 타오르는 온기는 또 얼마나 뜨거운가. 올가을, 대한민국은 내 생전에 보지 못했던 야릇한 빛깔로 후끈거린다. 단풍보다 훨씬 원색적이다. 물들어가는 나뭇잎이 되레 어떤 색깔을 연출해야 할지 고민이겠다. 방방곡곡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축제를 홍보하기 위해 땀을 흘리는 관계자들의 색깔도 남다르다. 방문객의 수가 지역경제와 직결되기 때문이다. 지역 특산품을 홍보하기 위해 과일이나 꽃, 음식 등을 앞장세워 호객행위 또한 가을의 진풍경이다.
전국에서 진행하고 있는 10월 행사만 대충 보더라도 진주의 남강 유등축제, 제천의 한방바이오박람회, 경주의 신라문화제, 한강의 불꽃축제, 태안의 가을꽃축제, 정읍의 구절초축제, 보은의 대추축제, 안면도의 백사장 대하축제, 정선의 민둥산 억새꽃축제, 풍기의 인삼축제, 논산의 강경젓갈축제, 여수의 밤바다 불꽃축제, 부산의 자갈치축제, 순천의 갈대축제, 제주의 마노르블랑 핑크뮬리축제, 영양의 연어축제, 거제의 거제섬꽃축제, 세종의 푸드트럭 페스티발, 순창의 장류축제 등이 있다. 청주에서는 ‘미래와 꿈의 공예 - 몽유도원이 펼쳐지다’란 주제로 ‘2019 청주공예비엔날레’가 진행 중이다. 며칠 있으면 ‘가을밤 달빛 아래 만나는 문화재 여행! 청주 문화재 소야행(小夜行)’이 시민들을 기다리고 있다.
축제는 말 그대로 감사하는 마음을 담은 축(祝)과 신성성을 담아 기원하는 제(祭)가 어우러진 예술 행위, 제천행사이다. 농경시대 농부들의 노고와 풍년을 기원하기 위해 제를 올리던 의식이 오늘날 축제로 이어지고 있다. 요즘에는 순수한 문화와 예술 행위를 넘어 자본이 함께 움직이다가 보니 지역적으로 관객을 불러들이기 위해 경쟁이 치열하다. 지역별 문화행사는 행정을 담당하는 수장의 수준에 따라 천차만별이다.
문화예술에 관심을 두면서 이와 관련된 프로그램에 동참하면서 지역별, 단체별, 분야별로 이루어지고 있는 행사를 눈여겨본다. 새롭게 기획한 프로그램을 만나기도 하지만, 대부분 10년 전이나 지금이나 형식에 지나지 않은 행사가 많다. 진행자들의 노고가 지원되는 액수에 비해 내용이 미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단체별로 지원하는 금액이라면 외부인은 고사하고 그 단체의 회원만이라도 동참한다면 관객은 그다지 걱정 안 해도 된다. 단체들은 지원금에 신경 쓰기보다는 회원 관리에 신경을 먼저 써 보는 것이 어떨까?
얼마 전에 영월 동강에서 진행되고 있는 홍메밀 축제에 다녀왔다. 평일인데도 동강 천변에 심어 놓은 홍메밀을 보러 사진작가와 관광객들로 문전성시를 이루었다. 인적이 드문 시골 마을에 찾아드는 관광객을 보며 지자체 관계자의 의식이 얼마나 중요한가를 알 수 있다. 메밀은 버릴 것이 하나도 없다. 강가나 천변에 심으면 환경정화로 토질개선도 되고, 꽃은 관광객을 불러들여 볼거리를 제공하고, 열매는 냉면이나 빵, 차 등 먹거리로, 잎 등은 화장품, 의약품 재료로, 껍질은 베개로 이용된다. 부수입으로 체험장을 만들어 6차산업으로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효자 식물이다.
몇 년 전에 충북문화재단에서 기획자양성과정에 동참하면서 진행하고 싶었던 기획이다. 청주에 살면서 미호천을 지나갈 때마다 놀고 있는 미호천변에 메밀을 심어 관광객을 불러들여 지역경제를 살리고 싶은 마음이 굴뚝 같았다. 21세기는 문화예술로 경쟁해야 하는 시대이다. 지역적 환경적 특징을 잘 살려서 문화예술로 활성화하는 방안이 으뜸일 게다. 단풍이 곱게 물드는 계절, 집회가 아니라 화합된 축제의 장이 되었으면 이 가을이 얼마나 눈부실까?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