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형 일자리 모델 창출 … `지자체 의지가 관건’
충북형 일자리 모델 창출 … `지자체 의지가 관건’
  • 이형모 기자
  • 승인 2019.08.13 19:2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청주 17전비 F-35스텔스 전투기 배치 항공정비 주목
민·군융합-민·군복합 종합항공정비센터로 조성 요약
방위사업청, 청주 비행기지에 F-35 정비창 설치 예정
김종대 의원 "최고급 인력 지원 않을 땐 가동 불가능"
"대부분 시스템정비 군 장비로 한계... 민간에 이양해야"
전문가들 "청주, 민·군 MRO사업 추진 최적지" 주장
민·군 시설-장비 활용... 혁신성장·일자리 창출 효과
선도기업에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물망... 엔진 등 정비
청주공항 에어로폴리스 3지구 조성 착수 준비 '착수'
도, 정부 설득·기업체 유치 항공정비산업 육성 귀추
대한민국 공군 최초의 스텔스전투기 F-35A가 공군 청주기지에 착륙 후 공군 요원의 통제에 따라 지상에서 이동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군 최초의 스텔스전투기 F-35A가 공군 청주기지에 착륙 후 공군 요원의 통제에 따라 지상에서 이동하고 있다.

 

전국 지방자치단체들이 미래 먹거리 산업 찾기에 앞다퉈 나서고 있다. 진화하는 기술혁명 시대에 뒤처지지 않기 위해 지역경제를 견인할 새로운 사업을 찾아 나선 것이다.

충북 역시 반도체 산업을 대신할 신산업 육성을 고민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청주 17전투비행단에 국가 전략자산인 F-35스텔스 전투기가 배치되면서 항공정비산업이 새롭게 주목받고 있다.

핵심은 F-35 전투기 정비센터를 포함한 민·군 융합이나 민·군복합의 종합항공정비센터를 조성하자는 것이다. 그 이유는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청주의 항공인프라를 최대한 활용하자는 것과 함께 항공정비산업 중 민·군 정비가 항공분야에서 마지막 남은 블루오션이라는 점 때문이다.

청주에는 공군사관학교, 제17전투 비행단 등 항공 관련 인프라가 갖춰져 있다. 여기에 1주일에 약 190편의 적정한 민항기 편수가 있는 국제공항이 있다. 동북아시대 후방 전진기지가 될 수 있는 적정한 위치가 될 수 있는 조건을 갖추고 있는 셈이다.

이미 도입됐거나 앞으로 도입될 국가 전략자산인 F-35스텔스 전투기가 모두 청주에 배치된다. F-35의 가장 큰 특징은 스텔기 전투기라는 점이다.

무엇보다 떠다니는 슈퍼컴퓨터라고 불릴 정도로 전자장비와 시스템의 집합체가 바로 F-35스텔기 전투기인 것이다. 이 때문에 정비의 70%를 기체정비가 아닌 시스템 정비가 차지한다.

그런데 미국 정부와 업체는 F-35 전투기의 가동률 향상을 위해 창정비 업무를 대륙별 정비창으로 3개 대륙 4개 분야 지역정비창을 운영하기로 했다.

한국은 부품정비는 일본에서 엔진은 호주에서 정비를 받아야 한다. 하지만 방위사업청은 지난 1월 일본과 정비협력을 맺을 수 없다고 결정했다. 군에서는 청주 비행기지에 F-35를 정비할 정비창을 설치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김종대 국회의원은 “민간의 최고급 인력이 지원하지 않으면 이 항공기는 가동이 불가능한 상황으로 갈 것”이라고 우려를 제기하고 있다.

F-35 정비의 대부분이 시스템 정비여서 항공 IT 소프트웨어 전문 엔지니어를 투입해야 정비가 가능한 기종이라는 특징 때문이다.

현재의 군 정비 인력과 장비로는 한계가 있는 만큼 정비를 민간에 이양해야 한다는 게 김 의원의 주장이다.

즉 첨단무기 정비는 설계도를 보지 않고 조립도 안 해본 사람의 영역이 아니라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이 때문에 시스템 정비만이라도 민간에 이양해 정비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막대한 국부 유출도 우려된다. 우리나라 국방비는 세계 6위권인데도 항공기는 15위권에 불과해 단일품목으로 최대의 무역적자 품목이다.

또 항공 정비기술은 개발도상국 수준이어서 민수용 항공기 정비로만 싱가포르에 연간 약 3000억원 가량을 지불하고 있다. 민·군융합이나 민·군복합 형태의 항공정비센터를 조성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지방자치단체의 의지가 중요하다.

하지만 충북도나 청주시 모두 항공정비(MRO)단지 유치에 실패한 경험이 있어 적극 나서지 못하고 있는 게 현실이다.

충북은 지난 2009년 이명박 정부 시절 국토교통부가 청주공항을 항공정비시범단지로 단독 지정하면서 MRO사업에 뛰어들었다.

이어 2010년 지식경제부가 청주공항을 MRO 유망 거점지역으로 지정한 데 이어 국토교통부가 2011년 제4차 공항개발 중장기계획에 청주공항을 항공정비시범단지로 지정, 고시했다.

충북도와 청주시는 2010년 한국항공우주산업(KAI)과 MOU를 체결한 뒤 MRO사업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국방부도 청주공항 인근 부지 교환에 합의하는 등 청주공항 MRO단지 유치는 순항하는 듯했다.

그러나 2014년 KAI가 도와의 MOU를 파기하자 다시 아시아나와 MRO사업을 추진하다 아시아나마저 사업 포기를 선언하면서 충북도도 MRO사업을 단념할 수밖에 없었다.

이 과정에서 충북도는 1년8개월을 업체만 믿고 기다렸다가 여론의 뭇매를 맞은 아픈 기억이 있다. 이 때문인지 충북도는 사업에 선뜻 나서지 못하면서 상황을 지켜보고 있다.

항공정비센터 설립이 진척되기 위해서는 선행되어야 할 조건들이 있다.

우선 군에서 기득권을 내려놓아야 한다. F-35 전투기 시스템 정비를 민간에 이양할 의지가 있어야 한다는 뜻이다.

전문가들도 청주가 민·군 MRO사업 적지라고 주장하고 있다.

지난 7월 국회에서 열린 `군수 MRO의 민·군융합 촉진을 통한 혁신성장 방안' 토론회에서 안영수 산업연구원 방위산업연구센터장은 “청주가 민군 MRO사업 적지”라며 “민·군의 중복투자를 줄이고 군 보유 시설과 장비를 민간이 함께 활용해 민간과 군의 역량을 끌어올리면 혁신성장과 일자리 창출 효과가 크다”고 말했다.

선도기업도 있어야 한다. 충북도가 비록 한 번의 실패로 MRO사업에 나서기를 주저하고 있는 상황은 이해하지만 사업을 포기해서는 안 된다. 선도기업을 찾으려는 물밑 접촉은 결코 도의 입장에서 손해 볼 일은 아니다.

선도기업으로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떠오르고 있다.

한화에어로스페이는 지난 6월 미국 항공기 엔진 부품 제조업체 EDAC(이닥)을 인수했다. 한화에어로스페이는 이에 앞서 지난 2월 미국의 방산업체인 록히드마틴으로부터 F-35스텔스 전투기 2단계 지역 정비업체로 선정됐다.

당시 방산업체 컨소시엄(Team Korea)에 참여했던 6개 업체 중 한화기계와 한화테크윈이 합병해 만든 회사가 한화에어로스페이스다.

미국이 정비를 배정한 품목은 17개 분야 398개 부품 중 항공전자, 기계 및 전자기계, 사출 등 3개 분야다. 향후 3단계에서는 310개 부품의 정비업체를 선정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따라서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EDAC 인수로 항공전자, 기계 및 전자기계, 사출 정비와 함께 항공 엔진 부품까지 정비가 가능한 업체가 됐다.

충북은 청주공항 인근에 에어로폴리스 3지구 조성 준비에 착수했다. 항공정비센터 조성 여건이 갖춰지고 있는 것이다.

이제 남은 것은 지자체의 의지에 달렸다. 충북도가 정부를 설득하고 기업체 유치에 발벗고 나서 항공정비산업을 신성장동력으로 육성할지 귀추가 주목된다.

/이형모기자
lhm043@cctimes.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